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퇴사 후 건강보험료 납부? 피부양자 등록으로 해결하기!

by 똑똑한 초록 2023. 1. 17.
반응형

 

퇴사 후 룰루랄라 즐겁게 지내고 있는데, 갑자기 집으로 날라온 건강보험료 납부 고지서..

엥?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라고? 이건 뭐지..? 당황하셔서 퇴사 후 건강보험 관련 내용을 검색하셨나요?

저 또한, 퇴사하고 갑자기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라는 고지서가 날라와서 당황했었습니다.

건강보험공단에 전화를 해봐야하나? 찾아가야하는건가? 고민했지만,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처리 가능합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온라인으로 피부양자 등록을 하기 전에,

먼저 왜 갑자기 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하는 건지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인일때는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를 포함한 4대 보험료를 제외하고 급여를 받았기 때문에

직장인 개개인이 따로 건강보험료를 납부할 필요가 없었던거랍니다.

하지만 퇴사를 하게 되면, 더 이상 직장가입자로 건강보험에 가입되있을 수가 없죠!

그래서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자동 전환이 되게 됩니다.

(만 30세 이하일 경우에는 보통 자동으로 부모님의 피부양자로 등록이 됩니다.)

그리고 지역가입자는 매달 건강보험료 고지서가 날라오고, 해당 금액을 각자 개인이 납부해야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면 건강보험료를 따로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피부양자 자격 조건은?

 

 

 

출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직장가입자의 배우자(사실혼 포함), 직계존속(배우자의 직계존속까지 포함), 직계비속, 형제자매 까지가 피부양자 대상입니다. (만 30세 이상인 경우는 부모님과 배우자까지만 가능합니다)

또한, 연간 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하는 방법(온라인)

 

 

위의 피부양자 자격조건에 해당이 된다면, 피부양자 등록을 하면 됩니다.

등록방법은 지사에 방문 혹은 팩스 발송,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훨씬 간단하고 빠르니 온라인 신청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1.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에 접속해주세요.

 

 

 

2. 개인 비회원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이때, 로그인은 직장가입자가 직접 로그인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지역가입자)가 아버지(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하려고 하는 것이라면,

아버지(직장가입자)가 로그인을 해서 자녀를 피부양자로 등록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직장가입자가 아닌 사람이 로그인해서 피부양자 신청을 하려고 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신청이 불가하다는 안내창이 뜹니다.

 

 

 

 

 

 

3. 로그인 후에, 상단의 민원신고->건강보험 직장가입자 피부양자 자격취득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4.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 동의에 체크를 해주세요.

 

 

 

 

 

 

 

 

 

 

5. 주민등록번호와 이름, 가입자와의 관계, 취득연월일, 취득부호 등을 입력 후, 저장을 눌러주세요.

 

 

 

 

 

 

6. 증빙서류는 보통은 가족관계증명서만 첨부하면 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추가 서류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혼인관계증명서(상세)를 추가 요청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런 경우에는 추후에 추가해주셔도 됩니다.

 

 

 

 

 

 

 

추가 서류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통 아래 사진 같이 카카오톡 메세지가 옵니다.

(신청 마지막에 처리결과를 카카오 알림톡으로 통보 받으시겠냐는 창이 뜨면 확인을 눌러주셔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처리된 경우에는 정상처리가 됐다고 메세지가 옵니다.

민원처리현황조회를 확인하면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기재가 되어 있으니, 첨부하고 다시 제출하면 됩니다.

 

가족관계증명서와 혼인관계증명서 등은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서 발급 하시면 됩니다.

전부 온라인으로 가능하니 참 편리하죠~

 

 

피부양자 등록 결과 확인하기

 

피부양자 등록이 잘 처리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신청 마지막에 처리결과를 카카오 알림톡으로 통보 받으시겠냐는 창이 뜨면 확인을 눌러주셨다면,

위 사진과 같이 정상처리 카톡을 받아보는 것으로도 확인할 수 있어요.

제일 간단한 방법입니다.)

 

1. 건강보험공단에 직접 연락하여 확인 ( 1577-1000 건강보험공단)

2.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3. 정부24 어플을 통해 확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

 

편한 방법으로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이러한 피부양자 등록 절차는 정말 간단하니, 고지서를 받아보기 전에

미리 신청 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